이 포스트에서는 지난 번 설치한 Proxmox 하이퍼바이저를 이용해 다양한 형태의 가상머신을 설치해보겠습니다.
지난 번 포스트 : 2020/01/15 - [Server] - Proxmox 하이퍼바이저 설치하기
Proxmox 하이퍼바이저 설치하기
이 포스트에서는 서버로 이용될 컴퓨터에 오픈소스로 운영되는 무료!!! Bare-Metal 하이퍼바이저인 Proxmox를 설치해보겠습니다. Proxmox 하이퍼바이저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요기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서버로..
blog.moonsh.me
Proxmox의 가상머신 종류들
Proxmox에서는 총 2가지 종류의 가상머신을 만들 수 있습니다.
- QEMU 기반의 Type 1 가상머신
- LXC 기반의 호스트 OS 컨테이너
이 포스트에서는 위 2가지 방법을 이용해 Ubuntu Server 18.04 이미지를 설치해보겠습니다.
가상머신을 설치하기 전 Proxmox의 Web Interface에 로그인합니다.
첫번째로 가상머신을 설치하기 전 Proxmox의 내부 저장소에 가상머신을 설치할 때 쓰일 운영체제의 이미지파일을 업로드해두어야 합니다.
이 포스트에서 사용할 Ubuntu Server 18.04 이미지는 이곳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Desktop 이미지 또한 설치방법은 동일합니다.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고 Proxmox Web Interface의 왼쪽 탐색기 영역의 하단에 local(prox1) 이라 레이블된 디스크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제가 설치한 구성에서는 디스크가 local(prox1), local-lvm(prox1) 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이는 설치 시 구성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Content 탭을 클릭하면 사용자가 저장해둔 디스크 이미지들과 가상머신들의 백업파일이 표시됩니다.
사진의 경우 이미 여러 파일들이 업로드되어 있지만 처음 Proxmox를 설치한 경우 비어있습니다.
사진을 기준으로 왼쪽 상단의 Upload 버튼을 클릭하고 원하는 OS 이미지를 찾아 업로드 합니다.
또한 뒤에서 LXC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사용되는 이미지를 다운로드받도록 하겠습니다.
LXC 이미지는 편리하게도 직접 Proxmox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상단의 Templates 버튼을 클릭 후 Search칸을 이용해 Ubuntu Bionic (standard) 이미지를 다운받습니다.
이미지 업로드와 다운로드가 끝나면 드디어 가상머신을 만들기 위한 준비가 되었습니다!
QEMU 기반 가상머신 설치하기
홈 화면으로 나와 우측 상단을 보시면 다음과 같은 버튼들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QEMU 기반의 가상머신을 만들기 위해서는 Create VM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가상머신에 사용할 각종 하드웨어 자원 스펙과 설치 시 이용할 부팅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전 단계에서 업로드한 Ubuntu Server 18.04를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Name 칸에 가상머신의 이름을 적고 Next 클릭
- Storage를 local(또는 우분투 이미지를 업로드한 디스크)로 선택
- ISO image에 Ubuntu Server 18.04 선택 후 Next 클릭
- System 탭은 손댈것이 없으니 Next 클릭
- Bus/Device는 SATA, Storage는 local-lvm 선택 후 Disk size에 원하는 가상머신에 할당할 GB단위 디스크 공간 설정 (ex. 30)
- Cores 칸에 할당을 원하는 CPU 코어 수 설정 후 Next 클릭
- Memory 칸에 할당을 원하는 메모리 용량을 설정 후 Next 클릭
- 네트워크는 기본 설정인 vmbr0 브리지를 이용하므로 Next 클릭
- 모든 설정이 맞게 되었는지 확인하고 Finish 클릭
위 과정이 끝나면 Proxmox Web Interface의 왼쪽 탐색기에 새로운 가상머신이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단에 새로운 가상머신이 생성되었다는 로그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LXC 기반 가상머신 설치하기
LXC기반의 컨테이너도 몇가지 차이점을 제외하고 QEMU 가상머신을 설치하는 과정과 매우 유사합니다.
설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Proxmox의 홈 화면으로 나와 상단의 Create CT 버튼을 클릭합니다.
- LXC는 가상머신과 다르게 생성시 미리 root 계정의 암호를 설정합니다. 컨테이너의 이름과 암호를 지정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 Template 드롭박스를 이용해 위에서 미리 다운받아놓은 Ubuntu Bionic 이미지를 선택하고 Next 클릭
- 가상머신때와 같이 할당할 디스크의 위치와 용량을 지정 후 Next 클릭
- 할당할 CPU 코어 수를 지정 후 Next 클릭
- 할당할 메모리 용량을 지정 후 Next 클릭
- 네트워크는 기본 설정인 vmbr0 브리지를 이용하므로 Next 클릭
- 필요에 따라 DNS를 설정한 뒤 Next 클릭
- 모든 설정사항을 검토하고 Finish 클릭
위 과정이 끝나면 QEMU 가상머신과 비슷하게 LXC 컨테이너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생성된 가상머신/LXC에 접속하기
정상적으로 가상머신이나 LXC가 생성되면 홈 화면 왼쪽 탐색기에 ID(이름) 의 형태로 상호작용 할 수 있습니다.
생성하신 가상머신/LXC를 클릭하고 Console 탭을 클릭해 쉘 또는 GUI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Proxmox 서버에 QEMU, LXC 를 이용한 가상머신을 설치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각 가상머신에 부여할 수 있는 좀 더 세부적인 설정항목을 올려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