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트는 지난번 포스트에서 설치한 Ubuntu Server 18.04 가상 머신을 이용해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설치해보겠습니다.
지난번 포스트 : 2020/01/15 - [Hypervisors] - Proxmox 서버에 가상머신 만들기
Proxmox 서버에 가상머신 만들기
이 포스트에서는 지난 번 설치한 Proxmox 하이퍼바이저를 이용해 다양한 형태의 가상머신을 설치해보겠습니다. 지난 번 포스트 : 2020/01/15 - [Server] - Proxmox 하이퍼바이저 설치하기 Proxmox 하이퍼바이저 설..
blog.moonsh.me
설치 전 준비사항
우선 지난번 설치한 우분투 가상 머신에 쉘 또는 SSH로 접속합니다.
마인크래프트 서버의 경우 구동을 위해 자바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이용해 우분투에 패키지를 업데이트하고 자바를 설치해주세요.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sudo apt-get install openjdk-8-jdk
위 명령어로 우분투의 각종 리포지토리와 패키지를 업데이트하고 마인크래프트가 구동될 자바를 설치합니다.
java -version
위 명령어를 입력해 설치된 자바의 버전이 나온다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끝났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마인크래프트 서버 설치
자바 설치가 마무리되면 여기서 최신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받아줍니다.
포스트를 올리는 날짜 기준으로 최신 버전은 minecraft_server.1.15.1.jar입니다.
우분투에서 직접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싶을 때는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해줍시다.
mkdir minecraftServer
cd minecraftServer
wget https://launcher.mojang.com/v1/objects/4d1826eebac84847c71a77f9349cc22afd0cf0a1/server.jar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마인크래프트 공식 서버 파일을 받아올 수 있습니다.
마인크래프트 서버 실행
서버를 받았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이용해 실행해줍니다.
java -Xmx1024M -Xms1024M -jar 위에서 다운로드한 서버파일.jar nogui
위 명령어에서 -Xmx1024M은 최대 1024MB의 램을 할당할 수 있다는 뜻이며 Xms1024M은 최소 1024MB의 램을 할당한다는 뜻입니다. 설치하는 가상 머신의 사양에 맞추어 숫자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Ex) java -Xmx8196M -Xms2048M -jar minecraft_server.1.15.1.jar nogui
위 명령어는 최소 2048MB ~ 최대 8196MB의 램 용량을 서버에 할당한다는 의미입니다.
처음 실행 시 각종 로그가 나오며 eula에 동의해달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며 자동으로 서버가 종료됩니다.
ls -al 명령어를 이용해 새로 생성된 파일을 확인해보면 eula.txt라는 파일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파일을 아래의 명령어를 이용해 수정합니다.
nano eula.txt
열어진 eula.txt에 eula=false를 eula=true로 수정합니다.
Ctrl + O를 눌러 저장하고 Ctrl + X를 눌러 에디터를 종료합니다.
서버의 접속 포트나 여타 속성을 수정하고 싶다면
nano server.properties
명령어를 이용하여 각종 속성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모든 설정이 끝나면 다시 java 명령어를 이용하여 서버를 구동합니다.
마인크래프트 클라이언트를 실행하고 가상 머신 IP:25565 주소를 통해 서버에 접속합니다.
여기까지 Proxmox의 가상 머신에서 바닐라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구동하는 방법입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pfSense라는 공유기 OS를 이용해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위한 방화벽을 구축해보겠습니다.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xmox 하이퍼바이저 설치하기 (0) | 2020.01.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