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xmox 하이퍼바이저 설치하기
이 포스트에서는 서버로 이용될 컴퓨터에 오픈소스로 운영되는 무료!!! Bare-Metal 하이퍼바이저인 Proxmox를 설치해보겠습니다.
Proxmox 하이퍼바이저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요기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서버로 사용할 기기는 중고로 구매한 Dell PowerEdge R710 입니다.
12개의 물리 코어, 24개의 논리 스레드를 가지고 있고 도합 48기가의 램 용량을 가지고 있어서 하이퍼바이저를 올려 사용하기에 적합한 스펙입니다.
원래 이런 랙타입 서버는 일반 컴퓨터와 다르게 몇가지 확인 및 변경해주어야 할 사항들이 있는데 추후 포스트에서 더 자세하게 다뤄보겠습니다.
Proxmox는 리눅스 KVM을 기반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설치는 여타 Ubuntu 같은 리눅스를 설치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 설치할 Proxmox 이미지를 여기서 다운받는다.
- 16GB 이상의 USB메모리에 balenaEtcher 또는 Rufus 툴을 이용해서 부팅디스크로 만든다.
- Proxmox를 설치하고자 하는 컴퓨터에 USB로 부팅한다.
- 설치절차를 진행한다. (설치 과정에 설정한 password 를 잊지 마세요!!)
- Proxmox Web Interface로 접근한다.
위 5개의 과정을 거치면 간단하게 서버에 Proxmox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설치가 마무리되면 연결되어있는 네트워크의 주소를 할당받아 Web Interface 접속 주소를 알려줍니다.
설치 시 눈여겨 보아야 할 부분은 총 3부분 입니다.
- IP
- Admin Password
- Disk
IP의 경우 설치가 끝나고 Web Interface 에 접속하기 위해 알아야 하고 Admin Password의 경우는 로그인시 필요합니다.
Disk의 경우 Proxmox가 설치될 디스크를 총 2개의 파티션으로 분리하는데 기본 이름은 local, local-lvm입니다.
local은 Proxmox의 커널이 설치되며 추후 가상머신 설치에 사용될 OS이미지를 저장하는데에 사용됩니다. 그리고 local-lvm은 가상머신이 설치될 디스크 공간입니다.
저는 평소 사용하던 ipTime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어 자동으로 192.168.0.0/24 대역의 주소를 발급받았습니다.
특별하게 설치 중 설정을 변경하지 않는 한 8006번 포트로 http://192.168.x.x:8006 요렇게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Proxmox 설치가 정상적으로 이뤄졌다면 주소로 접속 시 위 사진처럼 로그인 화면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으로 설정된 아이디 root와 설치과정에 등록하신 비밀번호로 로그인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매번 처음 로그인을 할 때마다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를 보게 되실겁니다.
해당 에러 메시지는 Proxmox의 구독권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경고 메시지입니다.
vmware의 ESXi나 citrix의 Xen 등 과는 다르게 Proxmox는 개인/일반 사용자를 위해 무료로 하이퍼바이저를 배포하지만 별도로 기업 사용자를 위해 구독제를 운영하며 각종 보안 업데이트들을 제공합니다.
저처럼 개인적인 목적으로 또는 실험용으로 사용하신다면 OK 버튼을 누르시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보시는 것처럼 저는 Proxmox를 사용중이라 각종 VM과 LXC 컨테이너들이 올라가 있지만 처음 설치하신 분들은 저 리스트와 하단의 로그 테이블이 비어있는것이 정상입니다.
여기까지 하셨다면 무료로! 리눅스KVM기반 하이퍼바이저 Proxmox 설치를 끝마치셨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Proxmox를 이용해서 각종 VM들과 LXC 컨테이너를 올려보겠습니다